언제나 그렇듯 나는 말할 때 서론이 길다. 이것도 그럴 것 같다. 논문도 아니고 줄줄이 생각나는 대로 쓰는 거니까 이해해주세요. 쓴다고 하고 쓰는게 어딥니까.
SIRR, Special Initiative for Rebuilding and Resiliency 이름 풀이를 해보자면
- Special – 특별이라 쓰고 급하게 모았습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 Initiative – 결론이라기보단 최초 계획이랄까요. 첫술에 배부르겠습니까만은 일단 시장님께서 퇴임 전에는 뭔가를 해야하니까…
- Rebuilding – 네.네.일단 허물어진 것은 다시 짓구요
- Resiliency – 탄성. 복원력. 탄력: 문제는 앞으로 얼마나 잘 버틸까하는 겁니다. 네.
또 다시 되돌아가서 서론을 이어가자면, SIRR은 NYCEDC (Economic Development Corp. 뉴욕 개발 공사)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막판에 결국 EDC 사무실에서 밤을 샜다는 이야기. 수해 복구가 도시 계획국 DCP 라든가 혹은 한국처럼 군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EDC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론, 블룸버그 재직 시절에 EDC의 역할이 무척 커졌다고 한다.)
EDC를 중심으로 피해 지역의 주민들과 인터뷰한 결과를 모으고, FEMA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해서 전문가 집단들의 Recommendation “권유사항”을 모은 책이 “A Stronger, More Resilient New York” 이라는 리포트이고, 이 수해복구 프로젝트의 결론이다. 내가 이 리포트에 기여한 일이라면 몇몇 현장 사진과 함께 막판에 밤새면서 나가떨어진 일러스트쓰는 디자이너를 대신해서 지도에서 동그라미 삼각형을 이리로 저리로 옮겨붙여주는 일을; 크게는 참여 설계사무소들이 사용하는 GIS데이터를 총괄했고 (EDC의 담당자가 막판에 맛탱이가 가서 준 화일 못찾고 데이타 날려먹고 하는 바람에) 작게는 스테이튼 아일랜드 지역과 맨하탄 아랫동네 스터디를 했다. “내가 뭐했나”하는 부분은 나중에 또 적도록 하겠다. 중요한 것은 나중에
그리고 뉴욕시의 향후 (도시) 계획은 모두 Planyc (Plannyc가 아니라 planyc입니다.) 라는 책에 담겨 있다. 여기에는 단순히 도시 계획 뿐 아니라 앞으로의 경제 정책이라는 것도 함께 담겨 있고, 블룸버그 형이 재직하는 동안 모든 정책의 목표였고 시장이 바뀐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블룸버그 형이 자랑하는 치적 중의 하나이다. SIRR report는 Planyc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Planyc 역시 SIRR report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수해 복구를 하는 것을 넘어서 앞으로의 기상 이변에 대비해서 도시를 어떻게 바꿔나갈 것인가 그럼 어떻게 돈을 더 벌 수 있을까에 대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의 결론을 말하자면 이렇다. 서론 다음에 결론이라니
- 우리는 물러나지 않는다. – 뉴욕시가 한평에 얼마냐.
- 앞으로 샌디보다 쎈 놈들이 더 자주 올 것이다. – 기후 변화에 대비합니다.
- 어떻게? – 자 전문가들 모여보세요.
전문가들: 저희도 노답입니다만…방법은 스케일별로 토목/조경적인 접근, 건축적인 접근으로 구분되고, 주체에 따라 행정적인 접근인지, 금융적인 접근이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문제인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까?의 첫번째 출발점은 항상 당사자. 즉 지역 주민으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무책임해 보일 수도 있고,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지만 여기에 왜 이 놈의 수해복구라는 프로젝트가 몇년째 계속 되고 있는지, 왜 이 수해복구에 주목해야하는지 이유가 있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 및 이 회사 쿠퍼로버트슨에 들어온 날 한 일이 사이트 답사였다. 특히 피해가 심각했던 스테이튼 아일랜드의 남쪽 해변을 둘러보고 나의 결론은 “아 여기서 어떻게 살아. 그냥 여기는 공원같은 걸로 해놓고 주거 불가 지역으로 해야되는 것 아닌가.” 였다.
사실 이 결론과 의구심은 프로젝트가 끝날 때까지 지속됐었다. 그러나 이런 의구심은 마지막 날에서야 풀렸다. 2013년 7월 13일 SIRR 프로젝트를 마치는 날 약 한시간에 걸쳐 블룸버그 시장의 발표가 있었다. ((허리케인 샌디가 있었던게 2012년 10월이다. 9개월 걸려서 책한권 내놓는다고 하면 한국에선 뒤집어질;;))
Let me be clear. We are not going to abandon the waterfront. We are not going to leave the Rockaways or Coney Island or Staten Island’s South Shore. City cannot just rebuild what was there and hope for the best.We have to build smarter and stronger and more sustainable.
분명히 합시다. 우리는 우리의 워터프론트를 내버려두지 않을 겁니다. 락어웨이즈와 코니아일랜드 혹은 스테이튼 아일랜드 남쪽 해안가를 떠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복구 하고 그냥 거기 앉아서 일이 잘되기를 바라고 앉아 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더 스마트하고 강력하며 더 지속가능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Mayor Pledges to Rebuild and Fortify Coast, NY Times.
To illustrate the futility of retreat, consider that within FEMA’s new 100-year flood maps there are more than 500 million square feet of New York City buildings – equivalent to the entire city of Minneapolis. These communities are home to almost 400,000 people and more than 270,000 jobs.
물러서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를 말씀드리죠. FEMA의 100년 주기 홍수 지도 안에는 5억 스퀘어피트 (4천6백만 제곱미터)의 뉴욕시 빌딩이 있습니다. – 미네아폴리스같은 도시 전체와 맞먹는 숫자지요. 이 지역은 거의 40만명의 주민들이 살고 있고, 27만개의 직장이 있습니다.
– Mayor Bloomberg Presents The City’s Long-term Plan To Further Prepare For The Impacts Of A Changing Climate, Office of the Mayor
다시 말해, 피할래야 피할 범위가 너무 넓고 뉴욕시의 땅 1인치라도 돈으로 환산하면 절대 버릴 수가 없는 땅이라는 것이다. (아마도) 뉴올리언즈의 복구와 다른 부분이 있다면 여기서부터 시작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다시 한번 블룸버그의 말을 빌리자면,
Think about what that means – just in financial terms: Sandy cost our City $19 billion in damages and lost economic activity. And we now forecast that a storm like Sandy could cost nearly five times that much by mid-century – around $90 billion.
이게 뭔소린가 하면, 돈으로만 얘기해보자구. 샌디 땜에 잃은 돈이 190억 달러(이천억원)야. 그리고 앞으로 샌디같은 놈이 대략 2050년 쯤 또 오면 그 액수가 900억쯤 될거라구.
– MAYOR BLOOMBERG DELIVERS ADDRESS ON SHAPING NEW YORK CITY’S FUTURE AFTER HURRICANE SANDY, New from the Blue Room
호미로 막을 거 가래로 막지 말자. 지금부터 준비합시다.가 이 프로젝트의 결론.
그럼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하자는 건가? – 는 다음 포스팅에 계속. 아 힘들다. 다음 포스팅이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몰라요.
2 responses to “SIRR (1)”
[…] 앞서 장황하고 내가 읽어도 알 수 없는 배경 설명을 했는데, 실은 배경 설명을 조금 더 해야겠다. 워낙에 실행 주체가 여러군데이고 거미줄처럼 엮여 있으니 이게 어디 딱하고 나와 있는 것도 아니고. 미안하지만 다시 배경 설명이… […]
[…] SIRR과 NY Rising이 각각 시와 주에서 주관한 프로젝트라면 Rebuild by Design은 연방정부에서 주관한 프로젝트이다. 정확히는 오바마가 하라고 싸인은 하긴 했지만 오바마가 하라고 한 건 아니고 HUD,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에서 시작했고, 운영 주체는 NYU’s Institute for Public Knowledge 이며, 돈은 대부분 락펠러 재단에서 댄다. 아니 주정부는 도대체 뭐하는거야. 3단계의 컴피티션이었고, 우리 회사는 HR&A와 팀을 꾸렸고, 나는 2단계에 참여했다. 3단계까지 갔으나 내가 없이 3단계를 통과할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