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19일 아이의 유치원 졸업식 발표회가 있었다. 발표회 아침에 신나거나 들뜬 표정보다 간간히 어두운 표정을 보였다. 어렴풋이 이제 이 친구들과 헤어지는 것이라는 걸 아는 것처럼 보였다.

물론 잠깐 그랬다.


남자 아이들은 태권도도 하고 여자 아이들은 발레같은 것을 했다. 성역할 고착화의 좋은 예 그리고 해마다 매끄럽고 재미없는 발표회에 잊지못할 반전을 보여주는 친구들이 있는데, 올 해는 솔이가 그 어려운 걸 해냈다.
혹시라도 이런 일에 부끄러워하거나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할까봐 왜 그런 상황이 벌어졌는가 몇번 얘기해봤는데, 다행히 전혀 신경쓰지 않는 듯 했다.











표정 연기가 국기원 시범단이다. 워낙에 곧이곧대로 하는 성격이라 다른 애들처럼 웃거나 하지않고, 나름 동작도 허투로 하는 법이 없다.


엄마는 유치원의 (거의) 공식 포토그래퍼를 했다.
니자가 아이들을 좋아하는 성격인지는 몰랐다. 나는 어른들을 만나도 마찬가지이긴 하지만, 아이들을 만나도 그냥 멀뚱하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니자는 아침 등교 시간에 온 유치원생들과 다 인사를 하고 수업 시작 전에 모든 애들과 하이파이브를 나누는 어린이계의 오지라퍼이다. 듣기로는 장인어른이 저런 성격이라고 한다. 저런 오지랖 엄마가 있는 솔이가 좀 부럽네. 잠깐. 우리 엄마도 좀 오지라퍼이시긴 한데…


3살 율동을 보고도 깜짝 놀랐었는데, 4살에는 회오리같은 치어리딩의 핵심안무를 구현하는 걸 보고 아 역시 한국인에게는 K-pop의 피가 흐르는구나 발표회 중 가장 큰 박수를 받았다. 아빠의 뇌피셜


아니 애들이 저렇게 하려면 밥도 안먹고 잠도 안자고 몇달 합숙해야하는 거 아니야 하하하. 하지만 그건 나같은 몸치의 얘기고

아이들은 발표회 일주 이주 전부터 연습을 한다고 한다. 솔이는 집에 오면 가끔 동작과 함께 ‘주안점’을 함께 설명해주곤 했다. ‘여기선 두번 해야돼.’ 라고 하는 파트를 무대에서 직접 보니 더욱 안무를 즐길 수 있었다. 아는만큼 보인다.


무슨 유치원이 발표회 하루 졸업식 하루를 따로 해서 회사를 이틀이나 못 나가게 해. 하면서 투덜거렸지만, 졸업식을 마치고 몇일 뒤면 엄마와 아들은 한국으로 긴 휴가를 가기로 했으니, 하루라도 아들 얼굴 보고 놀아줄 수 있어서 한편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