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할 떄 Twentieth Century font 쓰기 정말 싫은데, 제목에 본문에 문서 전체를 이 폰트로 하고, 거의 몇십년간 그 고집을 꺾지 않는데가 있다. 거의 내가 하는 프로젝트에서 갑 중의 갑이 있는데, 예전에 슬쩍 다른 폰트로 파워포인트를 했더니 어느새 폰트가 다 바뀌어 있었다. 심지어 지나가다 지하철에 있는 포스터에도 그 수퍼갑님은 강렬하게 제목 설명할 것 없이 Twentieth Century로 도배를 해두셨다.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HY-울릉도 M이던가 그 둥글둥글 서체가 한국 건축계에선 (특히 캐드에선) 거의 공식폰트였다. 매우 쓰기 싫었지만, 그래도 ‘줄이 잘 맞는다.’는 나름 이유가 있어서 굴복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왜 폰트 디자인하시는 분들 쓰시는 용어 중에, 기억이 안나지만, 글자의 폭과 사이의 공간이 똑같아서 숫자같은거 차트로 만들어두면 줄이 쫙 맞는, 보기는 좋지만 가독성은 떨어진다는, 뭐 그런 걸 부르는 용어가 있었는데 기억은 안난다. 하여간 –
처음엔 이 요상한 서체 Twentieth Century를 고집하는 게 그 수퍼갑님이 스프레드쉬트를 많이 쓰셔서 숫자 줄맞는게 중요해서 그런가 하고 봤더니 그것도 아니야. 안 그래도 안 읽히는 영어가 이 놈의 폰트 땜에 더 안 읽힌다. 폰트 탓이라도 하자.
도대체 이폰트는 이렇게도 무책임하게 J하고 I를 만들어둔거지 쳇 쳇 쳇 보고서 지겨워 쳇 쳇 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