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가 꽤 잘 됐던 것 같은 슈퍼가 하나 있다. 이름도 깔끔하게 s-마트. 지하철역이 있는 사거리를 접하는 네개의 블럭 중 하나인 우리집 블럭은 다른 4개의 블럭과 마찬가지로 언덕 위. 다시 말하자면, 지하철역 사거리가 가장 낮은 지점이다 보니, 사람들은 지하철역에서 나올 때 최대한 에스컬레이터로 높은 출구를 이용한다. 그리고 그 높은 역의 출구에서부터 어느 정도 평지인 길을 따라 몇개의 가게들이 있었고, s-마트는 나름 그 가게들 중 (( 업종과 상관없이 )) 에서 가장 잘 나갔었던 것 같다. 나름 24시간이고, 가격이 얼마나 싼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콘비니들보다는 쌀테고, 그다지 대량 구입의 필요가 없는 우리집의 특성상 가장 많이 이용하던 가게. (( 학동역 10번 출구 골목 아니 구글 지도 한국 서비스 시작했다메 ))
그런데 정확히 그 가게의 맞은 편에 그 가게의 두배쯤되는 가게가 생겼다. S 마트가 세입자인 반면 (( 이 건물 – 수산빌딩 – 나름 내 2학년때 선생님이셨던 방철린 – 그렇다 안기한테 행당동 집장사라고 하셨던 – 선생님이 하신건데 )) , 새 가게, 한국 유통은 건물주가 직접하는 모양. 나름 덩치가 있다고 싼 값으로 작은 가게를 압박하고 있다. 어느날 두 가게다 눈이 부실 정도의 조명을 하기 시작했고, 세일을 하기 시작했으며 무슨 회원카드도 발급하기 시작.
작은 가게 카운터에 손님여러분 살려주세요 인간적 도리에 어긋난 저 한국유통을 망하게 해주세요풍의 간곡한 A4사이즈의 편지를 적어서 붙여둔 걸 보니 싸움이 오래가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과연 이 블럭 하나를 가지고 저 두 가게가 얼마나 살아날 수 있을까. 하나가 망한다 쳐도, 큰 가게는 과연 이 블럭 하나를 가지고 저 덩치를 유지할 수 있을까 꽤나 흥미진진하다. 내 상식으로는 저 정도 매장 규모를 유지하려면 한 블럭 가정집 상대로는 택도 없을텐데, 일단 자기 자본으로 유지를 할테니, 한동안은 아무 생각없이 돈까먹다가 작은 가게가 망하는걸 보고는 앗싸 우리가 이겼어 하고는 그런데 우리는 왜 망할까로 진행되서 결국엔 블럭안에 편의점만 남게되리라… 라는. 이런류의 가게 – 건물 – 도시 생태계란 케냐의 코끼리 생태계만큼이나 재미가 있다. 세입자 가게 주인 혹은 24시간에 혹사당하는 비정규직 카운터 직원 여러분께는 죄송.
아참, 나는 24시간 가게 없으면 살기 힘든 인간이긴한데, 24시간 가게들이란데는 참 문제가 많다고 생각해. 밤시간만 하는 가게라면 몰라도.
3 responses to “super super”
아니, 왜 철학적이에요 왜
@pix – 먹고사니즘입니다.
작호2.0의 생각…
아. 드디어. 둘중하나가 망했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