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re Dame Proposals

4월 15일 노틀담 성당에 화재가 있었고, 이런 저런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복구에 관한 모금을 두고 제국주의와 문화재에 대한 논쟁이 오갔고, 나의 입장은 대략 이랬습니다.

SNS나 웹상의 글들을 보면 적당히 필터링하고 넘어가면 되는데, 조금 배우신 분들도 자꾸 과거 약탈 이야기를 꺼내며 ‘배운듯한 비아냥’을 보니 그저 하나마나한 커멘트를 하나 덧붙인 겁니다.

제국주의 약탈의 역사에 대해서는 그 역시 따져야할 문제이지만, 이 사건과는 별개의 문제로 다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경험적으로 ‘역사적 과오와 현재의 가치에 대한 충돌’에 대해서는 ‘미래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인 관계’가 선명치 않다면 두 문제는 따로 놓고 보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인스타그램 건축

약간의 buzz가 잠잠해질 무렵, 다시 재미있는 이슈가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그 처음은 Mathieu Lehanneur 라는 프랑스 디자이너의 인스타그램 계정이었고, ‘이게 뭐야’ 싶은 그림이 떴습니다.

그리고 많은 아이디어들이 뒤따랐습니다.

보는 사람에 따라 우스꽝스러워 보일 수도 있겠지만 각각은 나름의 이유가 있고,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고딕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했고, 고딕 성당이 구현하려던 가치는 무엇이고, 종교란 무엇인가, 상징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해석한 사람도 있고, 누군가는 21세기의 건축이란 무엇이고 환경에는 어떻게 적응해야하는가를 곱씹어 보는 것이죠. 각각의 안에 대해서는 아래의 FastCo의 기사를 참조하면 좋을 듯 합니다.

The race to redesign Notre-Dame is heating up–here are 6 of the wildest ideas
– Recycled plastics, solar panels, greenhouses, and urban farms–because why not? (https://www.fastcompany.com/90347839/the-race-to-redesign-notre-dame-is-heating-up-here-are-6-of-the-wildest-ideas)

처음엔, ‘튀어보자’, ‘이름한번얹어보자’ 같은 짓같아서 크게 신경쓰지 않았지만, 꽤나 그림들을 진지하게 만들었고 (진지한 개소리라고 하더라도) 여러 뉴스에서 함께 다뤄지는 것을 보니 잠깐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건축은 구축 (Tectonic)과 선언 (Statement) 입니다. 위의 그림들은 선언이고, 이전부터 중요한 건축의 절점마다 구축되지 못한 선언들이 그 시작을 알려왔습니다. 저 그림들이 역사에 남을만큼의 수준이 되는 그림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건축사 수업 혹은 건축사 교과서 한켠에 고딕에 대한 챕터는 있을테고, 그 수업에는 노틀담 성당을 다루고 고딕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버트리스와 높은 천정을 설명할 때, 이 그림들이 다시 등장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중세의 건축적 선언이 중세의 기술로 구축된 장면 (화재 이전의 성당 모습)과 21세기 초의 기술로 구축을 상상한 선언이 ‘포토샵으로’ 구축된 장면을 중첩해서 보면, 보다 선명하게 노틀담을 짓던 사람들이 ‘원하던 바’와 ‘할 수 있었던 것’이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시대에 할 수 있는 것은, 해야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함께 생각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컴피티션

‘다시 생각한 복구’를 이야기하면 생각나는 독일 국가의회 의사당 Reichstagsgebäude 입니다. Norman Foster의 작업입니다.

돔이 파괴된 채로 사용되던 70년대의 의사당 (wikipedia)

화재와 전쟁 등으로 파괴되었지만 돔을 다시 올리는 것과 같은 대대적인 보수는 하지 않고 사용하다가 90년대 이후 대대적인 복구를 하였고, 이 시대의 가치에 맞는 형태의 복구는 이런 것이다. 하며 포스터경의 유리돔이 얹혀지게 되었습니다. 민주주의의 가치에 맞고, 친환경의 가치를 구현했다는 이유로 지금도 포스터의 대표작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친환경적으로 보수한 의사당 (wikipedia)

다시 노틀담 이야기로 되돌아가서, 뉴욕타임즈의 기사는 화재 후의 논의에 대해서 좀더 다루고 있습니다. 화재 진압하자 마자 대통령이 나서서 – 우리는 복구 열심히 할 겁니다! 5년내로! 하니 나도 성금을! 너도 모금을! – 감동의 기자 회견을 하는 듯 했으나

Glass, Golden Flames or a Beam of Light:
What Should Replace Notre-Dame’s Spire?
Alex Marshall, May 20, 2019, NYTimes https://www.nytimes.com/2019/05/10/arts/design/notre-dame-spire-designs.html

1,100명의 건축 / 역사 지식인들이, 워워. 생각 좀 하고 움직입시다 “take time to find the right way” 라며 서안을 내고, 프랑스 정부도 복원방식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보기로 하였다고 합니다. 정말로 다시 생각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공식적으로 컴피티션을 준비한다고 했고, 비공식적인 컴피티션도 열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농담

뉴스를 쭉 따라가다 보니 예전 숭례문 생각도 나고, 이런 저런 생각이 많이 들었지만, 가장 눈길을 끌었던 것은 이런 안들이었습니다.

https://www.dezeen.com/2019/05/15/notre-dame-rebuild-outrageous-proposals/

수영장!
주차장!!!!

이렇게 대놓고 웃겨보자는 안들이 오히려 눈길을 끄는 이유는 눈길을 끌자고 만들었으니까 현실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제국 주의 약탈’까지 이야기 하면서 냉소를 날리는 것도 좋지만, 개소리라도 정성스런 개소리라고, 이런 건축적인 농담을 많이 봤으면 좋겠습니다.


(5월 29일 업데이트)

프랑스 국회에서 표결. – 헛소리 그만하고 화재이전으로 그대로 되돌려라. (풋) https://archpaper.com/2019/05/notre-dame-cathedral-french-senate-rebuild-original/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