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디자인 가이드 라인

뉴요커 잡지의 표지 디자이너로 유명한 크리스토프 니만. 넷플릭스에서 다큐보고 한번에 팬이 되어  인스타그램까지 팔로우했다.

Instagram @Abstractsunday

피드를 훑어 내려가다가 그의 스케치를 보고 아 꼭 서울 같으다… 했는데 엄마나. 정말 서울이네. 이건 내가 과연 도시/건축을 공부해서인가 그가 너무나도 뛰어난 디자이너여서일까. 한글이 쓰여있거나 딱 봐도 서울인 랜드마크가 등장하는 것도 아니고. 사실 이런 스케치 백장 주고 어느 도시인지 맞춰봐 하는 시험을 본다면 낙제 -_-;; 하겠지만 적어도 서울 / 뉴욕 / 뉴저지 정도는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가 스케치한 이 거리는 그의 눈에는 참으로 신선했을 것이다. 무슨 차이가 있는걸까.


도시의 가장 넓은 공공공간은 거리이다. 물론 모든 도시 혹은 국가 마다 거리에 관한 법규가 있지만, 그 법규란 것은 파편적으로 쓰여져 있고 단편적으로 발달해왔다. 다시 말해 거리란 도시를 이루는 한 부분 혹은 나머지, 즉 어딘가에서 어딘가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져서 최소한의 규정만을 다른 도시 디자인 요소의 하위 법규로 존재해왔다.

법규란 이거 하지마가 목표라면 매뉴얼은 이렇게 하면 어떨까가 목표랄까. 내가 프로젝트를 해본 혹은 찾아본 도시들을 보면 항상 총론으로 시작하는 독립된 거리에 관한 매뉴얼이 있었다. 주로 Complete / Better / Best 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는데, 이것은 저 멀리 뉴어바니즘이라는 미국의 전통에서부터 이어져온 유구한 어쩌구 저쩌구 같은 건 별로 재미없고, 쭉 살펴보면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고, 사실 서로 베끼고 베껴서 발달해 왔다. 그 중에서 제일 잘 만들어진 것들은 샌프란과 보스톤의 매뉴얼 정도이고, 지금까지 내가 찾아본 매뉴얼들의 링크는 다음과 같다. 사실 저번에 한번 포스팅했었다

그리고 내셔널급으로도 있다.

그리고 오늘의 본론, 글로벌 급으로도 하나 나왔다. 그리고 무료다!

대충 보면 뉴욕시 저번 정권 – 블룸버그 – 가 돈대고 블룸버그 밑에서 일하던 사람들 (콜대 어반 선생님 Skye같은 분들)이 뉴욕꺼 다 했으니까 글로벌꺼 한번가자. 뭐 이런 거 같은데, 다른 매뉴얼들의 총정리 매뉴얼 같은 수준. 만약 거리 디자인에 관심이 있다면 이거부터 보고 시작하면 좋을 것 같다. 각 도시별 케이스 스터디도 꽤나 충실하고 (청계천도 등장) 게다가 단위가 매트릭이다! 거리에 대한 평가 항목도 있고, 그림도 충실하고 디자인 전/후에 대한 데이터도 충실한 편이다.

아. 그리고 이 책을 쭉 보면 거리의 아이덴티티를 규정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나름의 해답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