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주문한 소파가 오면서 일단은 집에 필요한 것들이 다 들어왔다. 둘러볼 때마다 뭔가 필요한 것이 보이지만 천천히 많이 생각하고 채우기로 했다.

그리고 처음 이사와서 적은 글 (새 집)에서처럼, 틈틈히 집 사진도 잘 찍어두고 정리해두기로 했으니, 사진들을 정리해둔다. 이층 큰 방에 있는 천창은 이집을 선택한 두번째 이유이다. 천창이 주는 ‘밝음’은 그냥 단순한 밝음이 아닌 것 같다. 천창은 좋긴한데 층고가 높아서 좀 춥다.

이곳 저곳 쓸데없이 비워져 있고 꺾여있는 면들이 많아서 좋다. 단독주택이라 비효율적으로 생겨날 수 밖에 없는 geometry들을 따라가다보니 생겨난 면들인데, 조명과 반응해서 우연의 조형성을 드러내게 된다. 아마도 요즘하는 설계에서 저런 면들을 냅뒀다간 설계 못한다는 소리들었을 것.

손님맞이하는 거실이 있고 티비보는 패밀리룸이 키친과 다이닝을 사이에 두고 따로 있는 구조이다. 그래서 주생활 공간은 패밀리룸이 되겠다 했는데, 어쩌다 보니 보일러가 단면상 아래에 있는 거실 바닥이 제일 따뜻해서 다들 고양이마냥 거실 바닥에 엎드려있다.

차경들. 시선에 계속해서 프레임된 레이어가 걸린다. 계산된 풍경이 아닐텐데, 시선을 계속 멈추게 된다. 동네가 좋은 덕이라면 덕인데, 이런 차경을 만들어내는 건 건축만의 몫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고교동창 방자 식구들도 한국으로 돌아가기 마지막으로 집에 들렀다 갔다. 사실은 집이 이렇게 생기고 저렇게 생긴 것보다는 집에 누가 오고 누구와 음식을 나누고 무슨 이야기를 했느냐가 더 중요한 것일테다. 많은 사람들이 놀러오는 집이 되었으면 좋겠다.

2 responses to “집”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