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라이징

뉴욕시에서 주관한 SIRR이 끝나고 얼마 뒤부터 뉴욕주에서 주관하는 새로운 복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름하여 NY Rising Community Reconstruction Program.

SIRR이 조금더 개괄적이었다면, NY Rising은 조금더 구체적이고, 커뮤니티 위주의 진행이었다. 이름도 Community Reconstruction Program 아닌가. 기본적으로는 여기저기서 펀딩을 했고, 이걸 어떻게 나눠줄까… 동네 사람들끼리 모여서 회의 좀 해서 우리 동네는 뭐 때문에 어떻게 돈이 필요하다고 올려보세요. 하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여기 이렇게 돈이 들어왔고,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돈쓸 분 신청하세요.”하는 페이지가 마련되어있는데, 이것이 이 프로젝트의 결론이라고 보면 되겠다.

뉴욕주에서 수해 피해를 당한 66개의 커뮤니티에서 790회의 회의를 했고, 여기서 전문가 집단이 한 일은 커뮤니티 미팅에 나가서 상황을 설명하고, 동네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계산해서 위로 올리는 일이었다. 우리 회사가 맡은 커뮤니티는 로워맨하탄과 브루클린의 레드훅이었고, 내가 맡았던 지역은 레드훅이었다. 팀은 부동산 컨설팅 회사 HR&A와 엔지니어링 회사 PB 가 리드했고, 건축팀 Cooper, Robertson & Partners 과 조경팀 W Architecture 이 서포트를 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수해복구를 리드하는 팀이 부동산 컨설팅 회사였다. 군대가 아니라. 사실은 SIRR의 진행도 HR&A의 파트너가 EDC로 파견나와서 실질적인 업무를 진행했었다.

두번의 수해복구 프로그램을 통해서 놀라웠던 두가지 중 하나가 바로 이 부분인데, (이것이 뉴욕시 혹은 뉴욕주의 특이 사항일런지, 혹은 미국에선 당연한 일인지 혹은 한국이나 다른 곳에서도 마찬가지일런지 모르겠으나,) 정부의 용역으로 부동산 컨설턴트가 공공 복구 사업을 진행한다는 점이다. 어찌보면 자연재해로부터 일정 대지의 주거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토목-부동산-건축-조경 네개의 축으로 진행되며, 그 매니지를 부동산이 맡아서 한다는 것이 당연한 일인데, 여지껏 부동산의 의미를 개인 디벨로퍼의 수익에만 한정지어온 프랙티스만 봐와서 놀랍다고 생각한 것일지 모르겠다.

또다른 놀라웠던 경험은 “민주주의”였다고 하면 좀 거창할지 모르겠다만, 전문가 집단 (토목,부동산,건축,조경)에서 “여기에 돈을 씁시다.”라고 결정하지 않는다. 이는 커뮤니티 미팅에 의해 결정된다. 내가 커뮤티니 미팅에 참여한 것이 서너번 정도되었고, 건축팀으로서 하우징의 관련 법규가 어떻게 바뀌었고, 어떤 지역이 법규에 적용을 받으며, 어떻게 새로 지으면 기존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는지 등을 커뮤니티에 설명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 다소 전문적인 프리젠테이션 외엔, 동네 학교 체육관에 뉴욕라이징 배너를 걸어드리고, 동네 할머니가 벽에 걸린 의견보드에 붙일 포스트잇을 나눠준다든지, 펜을 나눠준다든지 하는 일을 했다. MBA하시고 부동산 컨설팅하시는 분들이 볼펜을 수거하고 의견 보드 떼서 스캔하는 동안 가위와 테이프를 챙겨주는 일도 잊지 않았다. 아. 정확히는 부동산 형들이 청소하고 펜나눠줄 때 나는 사진찍고 돌아다녔;;

10973008173_122c1a2171_k

이 경험이 매우 놀라웠다. 백발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자신의 커뮤니티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발표를 하고 있었고, 고삐리 (인지 중삐리인지) 친구들이 그걸 녹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딩처럼 보이는 애들이 체육관 바닥에 앉아서 기록하고 전문가 집단에게 질문을 했다. 전문가 집단에서 마련한 커다란 빈 지도에 마을 대표가 그려둔 ‘문제’ 혹은 ‘가능한 해결책’ 낙서가 가득했다.

10972771535_cf351b81d4_k10955922776_ffff10d205_k 10955998424_674683ab14_k 10972801245_007c511d0f_k 10972847925_96535c3e9e_k10973016323_8f96084ea4_k 10973101263_fe9a3a1be1_k

이 미팅에 갈 때까지 내가 그린 것은 하나도 없었다. 미팅이 끝난 후 이것들을 모아서 새로운 맵을 그렸고 이것이 나중에 해결책으로 전문가들의 손길을 거쳐 polish되어 나갔다. 이런 과정이 몇번이나 있었고 그 때마다 엄청난 양의 데이타가 만들어졌다. 소위 아이비리그 출신이라는 MBA 친구들이나 엔지니어들이나 건축가들은 모두 벽에 서서 팜플렛을 나눠주거나 이야기를 듣거나, 질문에만 답할 뿐이었다. 나는 주민들이 말걸까봐 바쁘게 돌아다니면서 사진을 찍었;;

그 결과물로 나온 레드훅 보고서와 함께 다른 여타의 보고서들도 다 퍼블리쉬되었고 이 프로젝트도 이제 대충 끝나가는 듯 하다. 아직 쿠오모의 오피스에선 돈의 용처를 다 찾지 못했으니 돈을 다 쓸 때까지 프로젝트는 계속되겠지.

이 인연으로 저번주에 다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EDC에서 나온 프로젝트인데 어떻게 하면 FEMA의 돈을 많이 받아올까;;를 연구하는 프로젝트가 되겠다. 다시 말하면 SIRR과 NY Rising을 통해 어디로 돈이 가서 어떻게 사용될지가 이제사 슬슬 결정되어가고 있다는 말씀. 어떻게 보면 갑갑할 정도로 느리지만 어떻게 보면 쉬지않고 많은 일들을 해나가고 있다.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