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티

타자기란 것이 미국에서 팔릴 때는 타자수를 함께 팔았다고 합니다. 즉 지체높으신 분들이 사용하는 하드웨어가 타자기였던 것이고 그러한 ‘하찮은 일’을 대신해주는 소프트웨어가 타자수였던 것이죠. 그래서 타자기 회사는 더 좋은 하드웨어 개발도 중요했지만 더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도 했어야했기에 타자수 경진대회같은 것도 했다고 해요…

하여튼 당시의 타자기는 독수리타법을 사용한 것이었고 그 먹지 위에 내려치는 해머가 최대한 겹치지 않게 만들어져야 했으므로 동시에 같은 글자를 칠 때 그 자판을 최대한 가까이 둬서 시간을 벌 수 있는 형태가 되었답니다. 이것이 ‘QWERTY’자판이라고 하는거래요. 하지만 열손가락을 다 사용한 타이핑의 경우엔 이것이 여간 비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당장 e, r만 보세요. 영어에서 그렇게 많이 쓰는 애들을 딱 붙여뒀으니… 그래서 드보락 자판이란게 나왔답니다. 열손가락을 사용하는, 즉 현대의 컴터 키보드에 어울리는 자판이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모든 타자수는 QWERTY자판에 익숙해 있으니 계속 QWERTY자판만을 썼고 모든 타자기 회사는 타자수들이 QWERTY자판만 치니까 QWERTY자판만 만들고… 회사에서 QWERTY자판만 만드니 타자수들은 계속 QWERTY자판만을 치고…

결국 합리적이지 못한 선택이지만 이렇게 사회적 관성에 의해 – 사회의 요구와 환경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비합리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뭐가 있을까~~~~~~~~~~“요? …

라고 저희 교수님이 말씀하셨습니다..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